또한 이글은 PostgreSQL v 6.3.2가 나왔던 시절의 글이므로 현재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점 고려하시면서 읽어 나가시기 바랍니다.
한동훈/KLUG 회장 | ||||||||||||||||||||||||||||||||||||||||||||||||||||||||||||||||||||||||||||||||||||||||||||||||||||||||
1. 들어가는말 요즘은 한참 RDBMS가 유행이다. 눈만 뜨고 일어나면 데이터 베이스 솔루션이니 뭐니 하면서 마치 RDBMS를 모르면 이 세상을 살아 갈수 없는 것처럼 만든다. 적어도 그 대상을 프로그래머로 국한을 시키더라도 말이다. 하지만 아직도 자그마한 중소기업에서는 클리퍼나 DB+ 같은 것을 사용하여 만든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도 한다. 무릇 어떠한 필요성이 어떠한 발명이나 발전을 있게 하는 것 같다. 요즘은 데이터 베이스 분야에도 관계형 개념을 넘어 객체지향 개념이나 분산개념이 도입되기도 한다. 가면 갈수록 세상은 빠르게 변하는 것 같고, 더욱 더 많은 능력을 프로그래머에게 요구하는 것 같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RDBMS 중에는 오라클, 인포믹스 같은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본격 상용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에 못지 않은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 공개용으로 여러분 가까이에 있다고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리눅스 사용자라면 PostgreSQL이라는 강력한 RDBMS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2.PostgreSQL 의 개요 및 특징 PostgreSQL 의 공식 사이트인 'http://www.PostgreSQL.org" 의 대문짝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커다랗게 쓰여있다. " PostgreSQL는 강력한 차 세대 객체 - 관계형 DBMS로서 Berkeley Postgres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파생되었다. PostgreSQL는 강력한 객체-관계형 데이터 모델과 풍부한 데이터 타입, 쉬운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며, PostQuel 질의 언어를 확장된 SQL의 부분 집합으로 대체하고 있다." PostgreSQL은 한마디로 객체지향 기능을 가지고 있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다. PostgreSQL의 모태가 되는 최초의 Postgres 프로젝트는 1986년 마이클 스톤브레이커(Michale Stonebraker) 교수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DRAPA(방위 진보 리서치 기관 ), ARO(육군 리서치연구소). NSF(미 국립 과학 재단) 등 여러 기관으로부터 후원을 받았다. 즉, 애초에 상업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교육 연구차원에서 개발된 것이였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특징은 PostgreSQL의 데이터 타입에서도 나타난다. 그리고 아이러니컬 하게도 PostgreSQL에 관련된 문서는 직접적으로 사용자 매뉴얼에 나타난 것보다도 각종 논문으로 발표된 것이 훨씬 많다. PostgreSQL는 매우 다양한 연구와 여러 응용 결과를 구현하는데 사용되어져 왔으며, 금융상의 데이터 분석 시스템, 제트엔진의 성능을 모니터링 하는 패키지, 소행성의 운동을 추적하는 데이터 베이스, 의학정보 데이터 베이스, 몇 개의 지리정보 시스템 등에 관련된 업무에 이용되어져 왔다. Postgres는 또한 여러 대학에서 교육용으로 쓰여져 왔다. 마침내 Illustra Information Technologies 에서는 일부의 코드를 사용하여 그것을 상업화하였다 PostgreSQL는 이러한 Postgres의 마지막 릴리즈인 버전4.2에서 파생되었으며,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개발되었다. PostgreSQL6.0 이전의 버전은 흔히 Postgre95라고 불러왔다. PostgreSQL의 코드는 현재 완전히 ANSI C로 작성되었으며, 코드의 크기도 약25%가 줄었고, 성능개선과 코드유지 부분에 대한 많은 내부적 변화가 있었다. PostgreSQL 버전은 이전의 Postgres에 비교해볼 때 상당한 속도상의 이점이 있다고 한다. PostgreSQL의 세가지 중요특징은 다음과 같다. ◐ 관계형 모델 : Postgres 프로젝트 리서치의 최초의 목적 중의 하나는 복합객체(complex object), 규칙(rule) 등을 다룰 수 있으며, 고수준으로 확장가능한 관계형 DBMS를 제작하려던 것이었다. 따라서 PostgreSQL는 관계형 DBMS가 가지고 있는 거의 모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SQL에서 서술적인 질의어의 사용과 질의 최적화, 동시성제어, 트랜잭션처리, 멀티 유저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 고수준 확장성 : PostgreSQL는 사용자 정의 오퍼레이터와 타입, 함수, 엑세스 메쏘드를 지원한다. ◐ 객체지향 : PostgreSQL는 상속, 객체와 같은 객체지향개념에서 볼 수 있는 여러 특징을 초보적이나마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PostgreSQL를 설명할 때 ORDBMS라고 말하기도 한다. PostgreSQL는 일반적인 구조는 postmaster. postgres. frontend 의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postmaster는 최상위 데몬 프로세스이다. 이것은 frontend와 backend 프로세스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며, 공유버퍼 풀(공유메모리 내부에)을 할당하며. 시작 시에 다른 초기화 부분을 수행한다. ◐ postgres는 backend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로세스이다. 질의(query)를 수행하는 등의 실제 작업을 처리한다. postmaster는 해당 frontend 접속마다 새로운 backend 프로세스를 시작시킨다. postgres backend는 항상 서버머쉰에서 수행된다. ◐ frontend 응용프로그램(예를들면 psql)은 아마 또 다른 머신(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워크스테이션)상에서 돌아 갈수 있으며, postmaster를 거쳐서 postgres backend 에게 접속을 요청한다. 여기에서 backend라는 용어는 어떠한 (데이타베이스)시스템에서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엔진과 유사한 부분이라고 보면 된다. frontend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들이거나 요청을 접수하여 backend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부분을 일컫는다. PostgreSQL에서 backend는 postgres 프로세스이고, frontend는 psql 이나 여타의 PostgreSQL 사용자 응용프로그램이다. PostgreSQL는 정말 다양한 API를 지원한다. 이중에서 아마도 앞으로 주로 사용하게 될 API가 하나 이상씩은 있을 것이다. 마음에 드는 것을 골라서 마음껏 사용해보기 바란다. ·C API ·C ++ API ·Tcl API ·Perl API ·Python API 이중에서 C와 C ++ API는 일반적인 라이브러리와 클래스 형태로 제공한다. PostgreSQL가 공개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는 점 때문에 정말 수도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지원 툴이 전세계의 여러 사람에 의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ODBC, UDBC, JDBC 드라이버 ·자바 레트둘, 자바 클래스 ·WISQL- 윈도우즈 상호대화식 질의 툴 ·ISQL- 상호대화식 질의 툴 ·AppGEN 개발시스템- PostgreSQL 4GL 웹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 ·EARP - 웹 테이타 베이스 디자인 /구현 툴 ·dbengine- 웹 인터페이스 ·NeoSoft NeoWebScript - Apache 웹서버 모듈 ·PHP/FI - 서버 측 html 엠베디드 스크립트 언어 ·WDB -P95 -PostgreSQL 와 웹의 게이트 웨이 ·ESQL/C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얼마 전에 나온 "Linux Database HOWTO" 문서를 참조하게 바란다. 다음에서 구할 수 있다. 3. PostgresSQL 저작권 PostgresSQL는 기본적으로 소스수준까지도 공개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GPL은 아니지만 사용, 복사, 수정, 배포에 있어서 자유로우며 무료로 구할 수 있다. 아울러 COPYRIGHT문서에는, 소프트웨어 사용으로 인한 손해에 대해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으며, 상업적인 이용이나 어떤 특별한 목적에의 사용에 대해서도 보증(warranties)을 거부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즉 상식적인 수준에서 공개 소프트웨어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면 될 것 같다. 4. PostgresSQL 의 설치 PostgresSQL는 다음의 플랫폼에서 동작한다.
part 1 PostgerSQL를 소스 파일로 설치하기 현재까지 나온 PostgresSQL 6.1.1의소스 파일의 압축분량은 대략 2메가 이다. 소스파일의 압축을 풀면 대략 10메가정도 된다. 설치시에는 최소메모리 8메가와 소스 바이너리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대략 45메가 정도의 디스크 공간을 필요로 한다 대용량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지 않을 거라면 사실 이정도 까지도 필요하지 않다. 소스파일을 풀고 컴파일하여 바이너리를 둘 공간과 약간의 데이터 베이스 저장공간만 있으면 된다. 지금 9월 30일 현재까지 나온 최신의 공식버전은 6.1.1이다 베타버젼은 6.2b11까지 나와있다. 10월 초경에는 6.2.가 나올 예정이고 12월 경에는 6.3이 나올 예정이라고 한다 사실 PostgresSQL과 다른 공개용 DRBMS를 비교해볼 때, PostgresSQL은 비표준적인 부분을 많이 지원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사용자 확장성은 정말 뛰어나게 되었으나 기본 표준인 ANSI SQL을 여전히 완전하게는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아마도 그중에서 정말 요긴하게 사용되는 것은 subselects, primary/secondary key, constraint 정도 가 될 것이다. 하지만 사실 이런 기능의 대부분은 PostgresSQL에서 사용자 정의 함수와 인덱스 생성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부분들이다. 이제 6.2 버전부터 이러한 표준 SQL부분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한다. 6.2 베타 버전에서도 벌써 테이블의 필드네에서 기본 DEFAULT 값을 지정하거나 NOT NULL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6.2 버전을 손꼽아 기다려볼만 하다. 하지만 여기서는 현재까지의 공식버전인 6.1.1 의 설치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PostgresSQL에서의 한글 사용문제도 있고 추가적인 기능은 나중에 탐미해도 충분할 것 같기 때문이다. 이미 PostgresSQL를 설치하였다면 이 부분을 건너뛰면 된다. 괜히 본 것 또 보면 머리만 아프고 식욕만 떨어질 뿐이다. 설치를 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PostgresSQL 사이트나 국내BBS Linux 동호회에서 PostgresSQL 최신버전을 받아오자. 예전의 Postgres 95 와 현재의 PostgresSQL 6.x 대 버전은 서로 설치방법이 조금 다르지만, PostgresSQL 6.x 대에서는 거의 같다. 혹시 베타버전을 설치하려는 분이나 며칠 있으면 나올 PostgresSQL 6.2를 설치하고 싶다면 그것으로 설치해도 상관은 없다. ftp://ftp.sra.co.jp/pub/cmd/postgres/ 사실, PostgresSQL의 기본 설치는 ./configure, make, make install, initab 만으로도 충분하다. 물론 Postgres 이런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는게 중요하다. 환경변수를 잡는다던지 여타의 것들은 이제 하나하나 설명하겠다. 1) postgres 계정이 없다면 만든다. 2) 디스크 용량이 충분한지 체크한다. 3) 일단 postgresql-v6.1.1.tar.gz을 postgres 홈 디렉토리에 가져다 놓자 4) Linux를 비롯한 몇몇 시스템에서는 flex를 사용한다. flex - version flex가 없다면 아마도 그것이 필요없을 것이다. 2.5.2나 2.5.4. 이상이면 O.K. 2.5.3. 이나 2.5.2. 이전의 버전이면 flex를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 ftp://prep.ai.mit.edu/pub/gnu/flex-2.5.4.tar.gz에서 구할 수 있다. 5) 이제 postgres 홈 디렉토리(/home/postgres)에 있는 PostgresSQL배포본의 압축을 풀어보자. cd 혹시 GUN tar가 아니면, gzip 과 tar 명령을 두번으로 나누어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6) 한글을 사용하려면 gzip -dc jp.patch.gz | patch -p0 src/ 디렉토리에 Makefile.custom파일을 만들어서 JP=1 이라고 한 줄 적어준다. 7) /usr/local/pgsql 디렉토리를 postgres 소유로 만들어둔다. su -l Password : *********** mkdir/usr/local/pgsql chown postgres.postgres /usr/local/pgsql 8) 앞으로는 계속 postgres 사용자 계정으로 로긴하여 작업해야 한다! chown -R postgres.postgres POSTGRES_ INSTALL_DIRECTORY src 디렉토리로 들어가서 ./configure를 실행하여 자신의 시스템에 맞는 사양을 고르면 된다. Linux 사용자라면 엔터만 두세 번 두들기면 알아서 잡아준다. cd cd postgresql-v6.1.1/src /configure 여기에서 잠시 readline 라이브러리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자. readline은 bash.psql 과 같은 명령행 기반 프로그램에서 히스토리 기능과 편집기능을 제공해주는 아주 편리한 라이브러이이다. readline 라이브러리는 홈디렉토리의 .inputrc에서 설정을 읽어오기 때문에 2바이트 문자를 처리하려면 ~/.inputrc 에 다음의 한 줄을 적어주면 한글을 사용할 수 있다. set eightbit readline 라이브러리는 주위에서 쉽게 구하여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9) 컴파일한다. make "All of PostgreSQL is successfully made. Ready to install"이라는 메시지가 보인다면 성공한 것이다 . make install 보통 별 무리없이 잘 설치될 것이다. 설치되지 않는 대부분의 경우는 /usr/local/pgsql 디렉토리를 만들어 두는 것을 깜빡 했거나, postgres 의 소유로 되어 있지 않아서 그럴 것이다. 10) 시스템이 공유 라이브러리를 잘 찾을 수 있도록 root로 로긴하여 /etc/ld.so.conf 파일에 다음의 한 줄을 추가한다. /usr/local/pgsql/lib 그리고 /sbin/ldconfig를 실행한다. bash 의 경우 : export LD_LIBRARY_PATH=/usr/local/pgsql/lib csh 의 경우 : setenv LD_LiBRARY_PATH /usr/local/pgsql/lib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pg_id:can't load library 'libpq.so'" 라는 메시지를 받는다면 위의 작업이 필요하다. 11) postgre로 로긴하여 postgreSQL을 위한 환경변수 설정을 한다. 이후의 모든 작업은 postgres사용자로 로긴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PostgreSQL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환경변수를 설정하여야 한다. 가끔 환경변수를 설정하지 않고 PostgreSQL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다. bash 사용자라면, 다음의 내용을 ~/.bash_profile에 적어넣는다. PATH-$PATH:/usr/local/pgslq/bin MANPATH=/usr/local/pgsql/man PGLIB=/usr/local/pgsql/lib PGDATA=/usr/local/pgsql/data export PATH MANPATH PGLIB PGDATA csh 사용자라면 setenv를 사용하여 똑같이 환경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source~/.bash_profile 12) 데이터 베이스를 초기화한다. initdb 13)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할 퍼미션을 설정한다. 14) postmaster 데몬을 수행한다. postmaster > server.log 2> & 1 & 15) postgers를 부팅시에 자동으로 띄우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된다. su postgres -c "/usr/local/pgsql/bin/postmaster -S -D /usr/local/pgsql/data " RedHat 리눅스 같은 경우에는 rc.d 구조가 조금 다르긴 하지만 rc.local 파일에 그냥 적어주는 것이 편하다. 16) 이왕 말이 나온 김에 postmaster를 좀더 효율적으로 띄우는 옵션을 잠깐 살펴보자. 필자는 다음과 같은 postmaster 초기 부팅 옵션 값을 사용하고 있다. su -l postgres -c "/usr/local/bin/postmaster -S -B 512 -o -F -D /usr/local/pgsql/data " 17) 그 외의 여러 시스템에서 필요한 사항을 잠깐 살펴보자. Ultrix4.x : Ultrix4.x 에 동적 로더가 없다면 libdl-1.1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 이것은 다음에서 구할 수 있다. Linux : Linux-elf 는 잘 설치된다. i486이상의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template/LInux-elf에 "-m486"을 컴파일 옵션에 추가할 수 있다. BSD/OS : BSD/OS 2.0 와 2.01에서는 GNU dld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한다. NeXT : NeXT 포트는 Tom R Hageman tom@basil.icce.rug.nl이 제공한다. 18) PostgreSQL를 운영하려면 사용할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를 등록해야 한다. $ createdb test linuxer라는 사용자를 등록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createuser linuxer Enter user's postgres ID or RETURN to use unix user ID : 514 -> [Enter] ls user " inuxer " allowed to create to database (y/n) y ls user " inuxer " allowed to create to add users?(y/n) y createuser : linuxer was successfully added linuxer라는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권리를 제공했지만, 또 다른 사용자를 추가할 권리를 주지 않았다. 참고적으로 이야기하면 사용자를 추가할 권리를 주지 않으면 해당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할 수 없게 된다. createdb와 createuser에 반대되는 명령은 destrotdb와 destroyuser 명령이다. test라는 데이터 베이스를 만들었으면 이제 잠깐 테스트해 보자 $psql test Welcome to the POSTGRESQL interactive sql monitor : Please read the file COPYRIGHT for copyright terms of POSTGRESQL type ? for help on slash commands type q to quit type g or terminate with semicolon to execute query You are currently connected to the database : test test => craeat table 연습( test -> 이름 test test -> 번호 int4 test -> ); CREATE test =>d 연습 Table=연습
test => inster into 연습 values ('꺼벙이'.1); INSERT 154615 test => inster into 연습 values ('멍청이'.2); INSERT 154616 test => select*from 연습 :
(2 rows) test => part 2 PostgreSQL를 바이너리로 설치하기 PostgreSQL를 본격적으로 활용측면에서 살펴 보기 전에 PostgreSQL를 바이너리로 설치하는 방법을 잠시 살펴본다. 바이너리는 주로 rpm으로 배포된다. 물론 데비안 페키지형식인 deb로 배포되긴 하지만 여기서는 PostgreSQL 의 rpm 배포판을 다루겠다. 필자는 주로 슬렉웨어를 사용하는 데 슬렉웨어에 rpm 패키지를 설치 관리할수 있도록 해주는 rpm 패키지를 설치하고 PostgreSQL 6.1 rpm 판을 설치하려다 잘 되지 않았다. 사용하고 있는 rpm 버전이 낮아서 그런지 모르겠다. PostgreSQL rpm 패키지는 역시 레드헷에서 설치가 잘된다. 국내 BBS 리눅스 동호회나 레드햇에서 PostgreSQL rpm 패키지를 쉽게 구할 수 있다. root로 로긴하여 일상적인 rpm 명령으로 설치하면 된다. $rpm -ivh pgsql61.rpm 패키지의 이름은 다를 수 있다. 필자가 설치해본 PostgreSQL rpm 판은 관련파일을 여러곳으로 분산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바이너리는 /user/bin 에, 데이터파일과 리소스 파일은 /var/lib/postgresql에 들어간다. 이미 데이터베이스 초기화가 되어 있으므로 initdb로 할 필요없다. PostgreSQL rpm 패키지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postmaster를 실행시키려면 퍼미션 에러가 떨어지는데 이는 다음을 수행하여 해결할 수 있다. $chown -R postgres /var/lib/postgresql 또 하나의 예상치 못한 문제점은 PostgreSQL의 슈퍼유저 권한이 postgres 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deamon에게 있다는 것이다. PostgreSQL를 rpm으로 설치하고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를 아무리 추가하려고 해도 되지 않아서 data 디렉토리의 pg_user 데이터를 바리너리 에디터로 살펴보니 황당하게도 deam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패키징한 사람이 어떤 이유로 이렇게 한 것인지 알 수는 없지만 우리는 이런 상황을 바로 잡아보자 먼저 root 상태에서 deamon으로 로긴해야 한다. deamon은 일반적인 계정이 아니라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생성되는 계정이다. $ su -I deamon $ createuser postgres postgres에게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 추가권한을 부여한다. 이제 postgres 계정으로 로긴하여 앞서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를 추가하면 된다. 하지만 이렇게 한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냥 간단하게 배우기에는 별문제가 없겠지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꼭 소스파일로 설치하던지, 제대로 된 바이너리 패키지를 구해서 설치하기 바란다. 5. PostgreSQL 기초 사용법 PostgreSQL 의 특징인 부분들을 활용하기 이전에 먼저 PostgreSQL에서 지원하는 SQL 의 기본 사용법을 잠깐 살펴보자. PostgreSQL은 아직은 ANSI SQL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않는다. 다른 자유롭게 구할 수 있는 RDBMS에 비해볼 때 표준 부분에서는 조금 떨어지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사용에는 전혀 지장이 없으며, 다른 RDBMS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다양한 비표준기능들을 많이 지원한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서는 보통 레코드(recoard)와 필드(field)라는 용어대신에 테이블(표-table), 로우(행-row), 컬럼(열-colum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파일을 weather.sql으로 저장한다. . $ createdb mydb 이제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한다. $ psql mydb 약간의환영 메시지가 나온다. 앞서 저장했던 SQL 질의어가 담긴 파일을 불러서 실행하는 명령은 '\i filename'이다. mydb=> \i weather.sql 정상적으로 테이블을 만들고 해당 값을 삽입할 것이다. SQL 질의어에 대한 간단한 온라인 도움말은 '\ hcommand'형식으로 얻을 수 있다. psql 모니터링은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몇 가지 명령어는 '\?'를 사용하면 알 수 있다. 기억이 잘 안날 때 자주 사용하기 바란다.
|
|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태그목록
Java ADO Eclipse 형변환 datagrid NSIS Visual Basic 6.0 Bluelab DbUtils HashTable flex MSsql function jsp Android DOM C# mysql 문자열 delphi C Excel xml svn Oracle Delphi Excel visual studio 2005 procedure hooking 내장함수글 보관함
달력
링크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