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Windows-Apache-Tomcat-Axis-JDK를 이용한 WebService 플랫폼 구축하기|작성자 희열


1. 일단 관련 소프트웨어부터 설치를 해야한다. 설치해야할 소프트웨어는

         * jdk 최신 버전 -> www.sun.com/java 에서 download 메뉴를 들어가면 받을 수 있다.


         * apache tomcat 최신 버전 -> 현재 5.5가 최신 버전이다. tomcat.apache.org에서

               받을 수 있다.


         * apache axis 최신 버전 -> Tomcat 서버에서 실행되는 java 프로그램으로 apache를

            이용하여 web service를 제공하는 패키지 이다. ws.apache.org/axis/에서 받을 수

            있다.


         * apache ant 최신 버전 -> make와 유사한 빌드 툴이다. 있으면 편리하다.

            ant.apache.org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1.1 Apache Tomcat은 JDK에 포함된 Java Runtime Environment(JRE)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먼저 JDK를 설치한다. 여기에서는 J2SE 1.5 update 7 with NetBeans를 설치하였다. 파일

        용량은 153MB이고, 설치에 필요한 하드 디스크 용량은 473MB이다. (평균 80KB/s 속도로

        다운로드 받는데 30분정도 걸렸다.)


                 jdk install directory = c:/program files/java/jdk1.5.0_07/

                 netbeans directory = c:/program files/NetBeans/


        설치가 끝나면, 내 컴퓨터 ->속성 -> 고급 -> 환경 변수에 다음의 항목을 추가한다.

                 JAVA_HOME=C:\Program Files\Java\jdk1.5.0_07

                 PATH += C:\Program Files\Java\jdk1.5.0_07\bin

                 CLASSPATH += C:\Program Files\Java\jdk1.5.0_07\lib\tools.jar


    1.2 Apache Tomcat 5.5 설치는 비교적 간단하다.


          * 먼저, Apache 사이트에서 윈도우즈용 Apache Tomcat 5.5 Binary를 다운로드 받은 후

             실행한다.


          * 설치 마법사가 수행되면, 몇 가지 선택을 요청하는데, 첫번째 설치 목록 선택에서는

             Full Option을 선택한다. 이렇게 하면 Documentation과 각종 Example이 설치되므로,

             이후 참조하기에 편리하다. 두번째로, 설치된 JRE(Java Runtime Environment)의

             디렉토리 위치를 물어오는데, jdk 1.5.0_07을 미리 설치했다면 jre 1.5.0_07이 설치된

             디렉토리가 기본 설정으로 표시된다. 이것을 그냥 선택하면 된다.

             (나의 경우 : c:/program files/java/jre 1.5.0_07/ 디렉토리를 사용하였다)


           * 그리고, Apache Tomcat의 port 번호와 관리자 ID/PASSWORD를 입력하라는 창이

              나타난다. 여기서는 포트 번호를 8080으로 설정하였다. 나머지 ID/passsword는

              알아서 설정한다.


           * 설치가 끝나면 Apache Tomcat을 수행할 지를 물어온다. 이 때 실행을 선택한다. 그리고,

              Web Browser에서 http://localhost:8080을 입력하여 Apaceh Tomcat 화면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화면이 뜨면 제대로 설치가 된 것이다.


           * 다음의 환경 변수를 시스템에 추가한다.

                 CATALINA_HOME =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5.5

                 CLASSPATH +=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5.5

                                              \common\lib\servlet-api.jar



  1.3. AXIS 설치하기 (설치 마법사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압축을 풀어서 복사한다).


         ws.apache.org/axis에서 AXIS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는다. 여기서는 Windows 버전을

         사용하였다. AXIS는 zip으로 압축되어 있는데, 압축을 원하는 디렉토리에 푼다.

          (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axis-1.4\ )


         AXIS를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PATH를 설정한다.

         AXIS_HOME =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axis-1.4

         AXIS_LIB = %AXIS_HOME%\lib

         AXISCLASSPATH =%AXIS_LIB%\axis.jar;

                                  +=%AXIS_LIB%\commons-discovery-0.2.jar;

                                  +=%AXIS_LIB%\commons-logging-1.0.4.jar;

                                  +=%AXIS_LIB%\jaxrpc.jar;

                                  +=%AXIS_LIB%\saaj.jar;

                                  +=%AXIS_LIB%\log4j-1.2.8.jar;

                                   +=%AXIS_LIB%\wsdl4j.jar

                                  +=%AXIS_LIB%\xml-apis.jar;

                                  +=%AXIS_LIB%\xercesImpl.jar;

         CLASSPATH +=%AXISCLASSPATH%


         위의 AXISCLASSPATH에서 마지막 2개의 jar 파일(xml-apis.jar와 xercesImpl.jar)

         는 기본 axis 배포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두 파일은 xerces.apache.org에서

         다운로드 받을 있다. Mirror에서 xerces-J-bin.2.8.0.zip을 다운로드하여 압축을

         풀면 이 두 파일을 얻을 수 있다. 해당 파일을 %AXIS_LIB% 디렉토리에 복사한다.


   1.4 AXIS와 Tomcat을 연동하기

         AXIS의 압축을 풀어놓은 디렉토리 하위에 webapps\axis가 있는데, 이것을 Tomcat

         의 webapps 디렉토리로 복사한다. 즉, %AXIS_HOME%\webapps\axis를

         %CATALINA_HOME%\webapps\로 복사한다.


         그 다음, 웹을 통해 Axis의 동작을 확인한다. 동작 확인은 웹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80/axis 주소를 입력하여 AXIS 화면이 제대로 뜨는지 보면 된다.


         화면이 제대로 뜨면 "validation" 링크를 클릭한다. 그러면 happyaxis.jsp가 수행되는

         데, 이 JSP는 axis가 필요로 하는 모듈(주로 jar 파일)들을 검사하여 필요한 jar 파일

         이 없으면 경고나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내가 Axis를 설치하고, happyaxis를 실행

         했을 때에는 activation.jar 파일과 mail.jar(java mail), xmlsec.jar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메시지가 나왔다.

        

         happyaxis.jsp 출력에서 해당 jar 파일들을 어디에서 다운받는지 알 수 있으므로,

         사이트에 접속하여 파일들을 다운로드 한다. 받은 jar 파일들을 java runtime

         environment(JRE)\lib\ext 에 복사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복사한 후 happyaxis.jsp를 실행해도 여전히 해당 jar 파일들이 없다고 나온다.

          JRE 이전 버전들을 모두 제거하고,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나서 살펴보니,

          activation.jar와 mail.jar는 인식이 되는데, xmlsec.jar는 인식이 안된다.

          다른 모듈과의 dependency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것 같은데, 원인은 아직 잘

          모르겠다. --> 누가 아는 사람들은 덧글을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osted by 나비:D
:

Collection, ArrayList, HashTable

 

Collection

1. Collection의 이해

1) 배열의 경우 인덱스를 사용하여 각 항목(element)에 접근하게 되는데, collection은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element에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거야.

2) element에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객체의 집합이야.

3) 객체가 열거자(enumerator)라고 불리는 객체의 참조를 제공하면 collection이라 해.

4) 열거자는 collection 내의 항목을 순차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어.

5) Foreach를 통해 객체내에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2. Collection의 동작

1) collection foreach 와 함께 사용될 때 foreach는 자동적으로 collection IEnumerable interface로부터 GetEnumerator() method를 호출

2) GetEnumerator() Ienumerable interface를 구현한 열거자 객체(enumerator object) return

3) foreach는 이 열거자 객체로부터 IEnumerable interface를 얻어 method(MoveNext(), Reset()) property(Current)를 호출

 

 

3. Custom Collection

 1) collection을 만들려면 System.Collections namespaceIEnumerable interface를 구현해야해.

IEnumerable interface

{

IEnumerable GetEnumerator();     //    열거자 객체를 반환

// 얘가 제공되어야지만 collection이라고 불릴 수 있는거야.

}

 2) 열거자 객체는 System.CollectionIEnumerable를 구현하는거야.

Interface IEnumerator

{

object Current { get; }  // Current 라는 프로퍼티는 get이라는 접근자만 제공하고 있어.

bool MoveNext();  

void Reset();

}

 

 

4. Custom Collection 작동모습

 1) IEnumerator를 구현한 class의 객체는 다음과 같이 작동을 구현해.

    (1) 객체 초기화시 어떤 element(항목) 가리키지 않음

(2) MoveNext method를 호출하여 첫번째 element로 이동.

(3) Current property를 통해 element를 뽑아내는거야.

    - Current property는 객체의 reference return하므로 이것을 찾고자 하는 객체의 형식으로 cast해서(안에 저장된 데이터의 타입으로) 필요한 작업을 수행

(4) MoveNext를 호출하여 다음 element로 이동

(5) 위 과정을 마지막까지 반복.

(6) Current property null return 하면 더 이상 접근할 항목이 없다는 의미

   (그래서 항상 루프를 돌릴 때 Current null인지 아닌지를 체크해야해)

(7) Reset method 를 호출하여 처음으로 돌아가거나 , 처리종료

(8) Reset 호출시에는 첫번째 element 의 이전을 가르키므로 MoveNext를 통해서 첫번째 항목으로 이동해서 순차적으로 접근을 해야해.

 

 

 

 

ArrayList

1. ArrayList의 이해

1) 객체를 배열로 만들어 사용하는데 유용한 기능을 제공

2) 확장성이 뛰어나 삽입/삭제/열거 등의 기능을 제공

3) 배열의 크기를 초기에 지정할 수 있어.

4) 정의된 크기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크기를 늘려줘.

 

 

2. ArrayList Collection의 관계

1) ArrayList라는 자체가 IEnumerable interface를 통해서 구현된 클래스야. (상속을 받어)

  때문에 ArrayList GetEnumerator를 통해 열거자객체를 얻을 수 있어.

  (여기서도 foreach문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거야)

2) 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ArrayList에 접근할 수 있어.

 

 

3. ArrayList 사용법

1) 생성 및 초기화

  ArrayList myAL = new ArrayList();   // ArrayList 생성

  myAl.Add(new Car(“그랜져”, 100000));    //  초기화, Car type data ArrayList에 저장

myAl.Add(new Car(“체어맨”, 200000));

myAl.Add(new Car(“포텐샤”, 300000));

 


 

2) ArryList 정보

  myAL.Count;  //  실제로 저장된 element

  int MaxSize = myAL.Capacity;     //  Capacity가 하는 일은 현재 ArrayList 총 크기 얻기지.

  myAL.Capacity = 20;   //   저장될 수 있는 총 용량 설정(default 16)

 

 

3) element(항목) 제거

  myAL.RemoveAt(1);   //  0부터 시작해서 지정된 요소를 제거, 1이면 두번째위치의 녀석이지

 

 

4) ArrayList를 배열로 변환

  - parameter를 배열로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Type 변환 주의)

Car[] CarArray = new Car[myAL.Count];  //  저장될 배열 생성

for(int i=0; i<myAL.Count; i++) {     //   배열에 ArrayList 정보 저장

CarArray[i] = (Car)myAL[i];  // Car type으로 명시적 형변환하고 있어. 꼭 형변환해야해

}

foreach(Car i in CarArray) {    //  배열 출력

Console.WriteLine(“차종 : {0}, 가격 : {1}”, i.carName, i.carPrice);

}

 

 

 

 

 

HashTable

1. HashTable의 이해

1) 특정 Key 값에 의해 element에 접근할 수 있도록 고안된 데이터 구조

2) 어떠한 형태의 객체든 저장이 가능해(ArrayList도 가능해)

  Hashtable hash1 = new Hashtable();    //  HashTable 객체 선언

 

  Hash.Add(“847361”, “홍길동”);    //  Add method를 통한 등록

Hash.Add(“127561”, “박길동”);   // 첫번째가 키값, 두번째가 항목에 들어갈 데이터

Hash.Add(“887261”, “김길동”);

Hash.Add(“234561”, “이길동”);   

 

    foreach (string item1 in hash1.Keys) {   //  key data type에 의한 foreach 출력

           // 위에 놈은 위 string인가. 그건 홍길동의 type string이기 때문이야

      Console.WriteLine(item1 + “    “ + hash1[item1]);

}

 

Collection, ArrayList, HashTabled 의 공통점은?

    비슷한 특징이 있어. 객체를 배열로 묶어서 저장하고 그 배열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foreach문을 통해서 자동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

, 이제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 Collection

 

using System;


//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Collection를 만들어볼꺼야 #################
class MyCollection
{

 // 보통은 private로 많이 하나 예제니 간단하게 public으로 만들자
 public int[] items;     //   배열 생성
 int nIndex = -1;         //   변수 생성

 MyCollection collection;  // 변수 생성..... 안에서 items를 계속 접근할려고 만들었어.


 //  생성자에서는 collection에다가 현재객체를 담도록 지정해볼꺼야.
 public MyCollection()
 {
  collection = this; //  여기에는 Reference가 담기게 되는거야.
 }


 public MyCollection GetEnumerator()
 {
  return this;  //   MyCollection를 리턴하도록 설정했어. 
 }


 //   이 MoveNext를 통해 이동하고 Current를 통해 데이터를 뽑아내는거야.
 public bool MoveNext()
 {
  nIndex++;
  return(nIndex < collection.items.GetLength(0));
   //   배열에 접근할 수 있는 배열첨자의 역할을 int type변수
 }


 public void Reset()
 {
  // nIndex 배열을 초기화해줄것
  nIndex = -1;
 }


 public int Current
 {
  get { return(collection.items[nIndex]); }
 }
}


// ######################################################


class My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
 {
  // 위에서 Collection을 만들었으니 객체를 만들어서 순차적으로 접근해보자.
  MyCollection col = new MyCollection();
  col.items = new int[5]{11, 33, 22, 55, 44};      
  //  5개의 int type Array 생성

  // 콜렉션같은 경우는 foreach문을 통해 순차적인 접근이 가능해.
  foreach(int i in col)
  {
   Console.WriteLine(i);
  }

 }
}


▒▒▒▒▒▒▒▒▒▒▒▒▒▒▒▒▒▒▒▒▒▒▒▒▒▒▒▒▒▒▒▒▒▒▒▒▒▒▒▒▒▒▒▒▒▒▒▒▒▒▒


■ ArrayList

 

 // 학습목료
// : 학교에 등교하는 학생의 정보를 저장해볼꺼야.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 // -> 이 부분을 참조했어. (네임스페이스)

 

class Student
{
 // 멤버들을 기술할꺼야. 예제를 위해 public으로 구성할꺼야.
 public string name; // 학생 이름
 public int no;      
   //  학생 번호

 

 // ###생성자를 생성###
 public Student(){}


 public Student(string name, int no)
 {
  this.name = name;       // 초기화
  this.no = no;          
   // 초기화
 }
}


class Myschool
{
 public static void Main()
 {
  // 나왔다. ArrayList ~
  ArrayList myAL = new ArrayList();


  // 어짜피 레퍼런스타입으로 저장되기에 new를 사용했어.
  myAL.Add(new Student("홍길동", 20));      //  학생 객체를 Array를 통해 생성
  myAL.Add(new Student("지니진", 10));
  myAL.Add(new Student("이순신", 30));


  // 홍길동을 삭제할꺼야~
  myAL.RemoveAt(0);



  // 그럼 출력해보자.
  // 현재는 Student type Data를 가지고 있어. 우리는 ArrayList 자체가 아니라 Student 객체에 대한 데이트들.
  // 그래서 Student type으로 변환해야해.
  for(int i=0; i<2; i++)
  {
   // 여기서 Student type으로 형변환을 해줄꺼야
   Console.WriteLine("이름 : {0}, 번호 : {1}", ((Student)myAL[i]).name, ((Student)myAL[i]).no);
  }



  Console.WriteLine();

  // 이번에는 배열로 바꿔보자. -------------------------------------------------------------------------------------------
  // Student 라는 클래스에 데이터가 들어가 있어.  배열로 Student type으로 배열로 만들꺼야.
  Student[] StudentArray = new Student[myAL.Count];  // 객수만큼 만들어.. 2인 배열이 생성되겠지

  // for문을 통해서 알아보자
  for(int i=0; i<myAL.Count; i++)
  {
   // Student Array 에 Student type으로 저장하는거야.
   // 파라미터나 foreach문으로 출력이 가능해

   StudentArray[i] = (Student)myAL[i];
  }


  foreach(Student i in StudentArray)
  {
   Console.WriteLine("이름 : {0}, 번호 : {1}", i.name, i.no);
  }


 }
}



▒▒▒▒▒▒▒▒▒▒▒▒▒▒▒▒▒▒▒▒▒▒▒▒▒▒▒▒▒▒▒▒▒▒▒▒▒▒▒▒▒▒▒▒▒▒▒▒▒▒▒


■ HashTable

 

// 학습목료
// : 학교에 등교하는 학생의 정보를 저장해볼꺼야.



// ArrayList 같은경우 아이이뉴멀오프 인터페이스를 실제로 구현하면
// foreach문을 통해 접근할수 있어.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 // -> 이 부분을 참조했어. (네임스페이스)


class MyHashTable
{
 public static void Main()
 {
  // 배열같은 경우는 인덱스값이 int type만 가능하나 해쉬 테이블을 달라
  // 문자열이나 기타 다른 타입으로도 가능하다는 거야.

  Hashtable hash1 = new Hashtable();


  hash1.Add("111111", "홍길동");   // 앞이 키값, 뒤가 항목
  hash1.Add("222222", "임꺽정");
  hash1.Add("333333", "이순신");

 

  // 그럼 출력해보자
  foreach(string item in hash1.Keys)
  {
      Console.WriteLine(item + "         " + hash1[item]);
  }



  // 항목을 삭제해보자.
  hash1.Remove("222222");
  foreach(string item in hash1.Keys)
  {
   Console.WriteLine(item + "         " + hash1[item]);  // 임꺽정이 지워진것을 알수있어.
  }


 }
}


▒▒▒▒▒▒▒▒▒▒▒▒▒▒▒▒▒▒▒▒▒▒▒▒▒▒▒▒▒▒▒▒▒▒▒▒▒▒▒▒▒▒▒▒▒▒▒▒▒▒▒

Posted by 나비:D
:
1. Collection
  • Map은 key와 value를 가진 집합이며,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즉, 한개의 key에 한개의 value가 매칭된다.
  • java.util 패키지에 여러 집합들을 사용하기 위한 여러 interface와 class 들이 정의되어 있다.
2. HashMap
  • HashMap은 Map interface를 implements 한 클래스로서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Map의 특징인 key와 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지며, key 또는 value 값으로써 null을 허용한다.
  • 아래의 예는 HashMap을 사용한 간단한 예제이다.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ashMap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v[])
        {
            HashMap hm = new HashMap();
            System.out.println(hm.put("aaa", "111"));
            System.out.println(hm.put("bbb", "222"));
            System.out.println(hm.put("aaa", "444"));
            System.out.println(hm.put("ccc", "333"));   
            System.out.println(hm.put("ccc", null));      
           
            System.out.println("HashMap size : " + hm.size());
           
            Set set = hm.keySet();
            Object []hmKeys = set.toArray();
            for(int i = 0; i < hmKeys.length; i++)
            {
                String key = (String)hmKeys[i];  
                System.out.print(key);
                System.out.print(" - ");
                System.out.println((String)hm.get(key));
            }
        }
    }


    /**
    실행:java HashMapTest
    결과:
    null
    null
    111
    null
    333
    HashMap size : 3
    ccc - null
    bbb - 222
    aaa - 444
    */

3. TreeMap
  • TreeMap역시 중복을 허용하지 않으며, key와 value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 HashMap과 다른 점은 SortedMap을 implements 하였으므로, key 값들에 대한 정렬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 아래의 예는 TreeMap을 사용하여 각 요소가 몇몇 이나 나왔는지 알아보는 간단한 예제이다.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Freq

    {
        private static final Integer ONE = new Integer(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p m = new TreeMap();

            // Initialize frequency table from command line
            for (int i=0; i < args.length; i++)

            {
                Integer freq = (Integer) m.get(args[i]);
                m.put(args[i], (freq==null ? ONE :
                                new Integer(freq.intValue() + 1)));
            }

            System.out.println(m.size()+" distinct words detected:");
            System.out.println(m);
        }
    }


    /**
    실행:java Freq if it is to be it is up to me to delegate
    결과:
    8 distinct words detected:
    {be=1, delegate=1, if=1, is=2, it=2, me=1, to=3, up=1}
    */

4. Hashtable
  • Hashtable Map interface를 implements 한 클래스로서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Map의 특징인 key와 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지며, key 또는 value 값으로써 null을 허용하지 않는다.(HashMap과의 차이점)
  • 아래의 예는 HashTable을 사용한 간단한 예제이다.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ashtable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v[])
        {
            Hashtable ht = new Hashtable();
            System.out.println(ht.put("aaa", "111"));
            System.out.println(ht.put("bbb", "222"));
            System.out.println(ht.put("aaa", "444"));
            System.out.println(ht.put("ccc", "333"));   
           
            System.out.println("Hashtable size : " + ht.size());
           
            System.out.println("aaa value : " + (String)ht.get("aaa");
           
        }
    }


    /**
    실행:java HashMapTest
    결과:
    null
    null
    111
    null
    Hashtable size : 3
    aaa value : 444
    */

Posted by 나비:D
:

보통은 컬렉션을 배열로 구현을 하는게 맞다.

사용하는 입장이라면 기존의 있는 자료형을 그대로 쓰는게 좋겠지.

우리는 컬렉션을 다루기가 쉽거든.


배열과 컬렉션의 선택기준

단일타입의 집합은 배열을 쓰자.

배열은 막무가내로 짜지 않는다. 중학교 관리프로그램이라고 치면 어느정도 예상치를 알기에

적정하게 잡고 만들지.

다중타입의 집합은 컬렉션을 쓰자. 가변적인 방의 갯수.. 배열과 달리 줄이거나 늘리는데 유동적.


배열이나 컬렉션을 만들고 탐색을 많이 하지.

아이템에 대한 접근을 하는데 배열은 for문을 쓰고 컬렉션은 foreach문 쓰자. 실제 컬렉션은 for문

 보다 foreach문이 월등히 빠르다.

                                   




배열과 컬렉션의 차이점.

    [배열]

     : 데이터의 집합, 배열도 오브젝트형을 만들 수 있다. 배열은 고정된 크기만 갖는다.

       첨에 방이 10개면 계속 10만 가능하다.


    [컬렉션]

     : 다중 데이터형 집합, 오브젝트형의 집합

       동적으로 메모리 확장가능(크기가 가변적이다, 가장 많이 쓰는 이유)

              확실하지 않은 데이터의 크기는 컬렉션을 많이 쓰지.

              방을 늘리거나 줄이거나 가능하기 때문이야




ArrayList

     - 크기가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증가되는 배열

     - 데이터를 넣을때

          list.Add();


     Ilist      :  아이리스트를 부모로 갖는(상속) 놈들은 인덱서를 쓰도록 하자

                   Array list = new Array();    ->   list[0]

                   이런 방법으로 입/출력할 수 있는 것.

     ICollection    :   얘를 상속받은 모든 클래스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를 count

                                   라는 이름으로 반환하게 되어 있어.

                                   쩜.count  이런 식으로 쓰인다.

     IEnumerable : 도움말 참조~

     ICloneable : clone 이라는 메소드를 구현해야 한다. 왜 배열을 clone으로 카피하는 이유

                              list.clone();     복사할 때 이런 문법을 쓰는데 이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았기

                              때문이야.




개념을 알고 가자

Add :  추가의 개념, 다른 메소드에서는 Append 라고도 한다. 내용이 있으면 밑에다 계속 추가.

Insert : 삽입의 개념. 자료가 있으면 사이에 비짚고 넣겠다는 거야.

가변적인 ArrayList  왜???

    배열은 방을 만들면 끝이다.  int[] num = new int[5];

    그러나 이놈은 신기하게 방갯수 변경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놈도 원래 방의 크기가 있다.

    ArrayList mm = new ArrayList();

    list.Add(10);

    list.Add(20);

    list.Add(30);

          원래 기본적으로 3개의 방이 생성이 되는데 4번째 방을 만들고자 Add로 넣으면

          기본크기의 2배가 되는 방을 만들고 원래있던 값들을 복사한다.

    list.Add(40);

          내부적으로는 객체가 2번 생성이 된것이지.. 그리고 방의 크기는 6개가 되는거야.

          보통 기본크기도 잡을 수 있다.

          근데 항상 요소의 갯수가 100개와 101개를 넘나들면 빈방이 많아지겠지.

          이까지는 좋아. 4번째방에 40을 넣으면 2개의 남는 방이 있잖아.

          이 때, 죽어도 4개이상의 방을 넘어갈 일이 없다... 즉 남는방을 없앨 때

          우리는 list.TrimToSize();  를 써서 공간낭비를 줄일 수 있다.



========================================================================================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   //  컬렉션을 구동하기 위해 추가하는 using문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public class Class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배열같은 놈을 하나 만들자
           // #### ArrayList #########
           // 배열과 달리 길이가 가변적이라 방의 갯수를 지정할 필요 없다.
           //    foreach문을 지원한다.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100);
           list.Add(200);
           list.Add(300);
           Console.WriteLine("list의 크기 : {0}", list.Count); //  3 을 반환
           Console.WriteLine(list[1]);     //   200 을 반환
           foreach(int n in list)
           {
                 Console.WriteLine(n);      //  100    200    300    을 반환
           }


           // 요소를 모두 제거하는 clear
           list.Clear();
           Console.WriteLine(list.Count);        //      0      을 반환


           // 지운 값을 다시 넣고...
           list.Add(100);
           list.Add(200);
           list.Add(300);


           // 유/무를 반환, 검색용 메소드
           Console.WriteLine(list.Contains(200));       // true를 반환


           // Insert....
           list.Insert(1,400);        //     1번째 위치에 400을 넣겠다는 의미다.
           foreach(int n in list)
           {
                 Console.WriteLine(n);
           }


           // Insert를 ADD랑 같게 만들고 싶다면
           list.Insert(list.Count, 777);
            foreach(int n in list)
            {
                   Console.WriteLine(n);
            }


           // Remove는 찾아서 지우는 놈.... 200을 넣으면 200이란 값을 찾아서 지운다.
           // 만약 200이 두개 있으면 첫번째 놈만 지운다.
           list.Remove(200);


           // 찍어서 지운다.
           list.RemoveAt(1);


           // sort는 배열의 sort와 같다.
           list.Sort();


           // 이놈은 쓰는게 좋다.
           //       왜 이 ArrayList란 놈은 가변적일까???
           //              그 질문과 연장선상에 있다. 이놈은 남는 방을 잘러버리거든      
           list.TrimToSize()



▒▒▒▒▒▒▒▒▒▒▒▒▒▒▒▒▒▒▒▒▒▒▒▒▒▒▒▒▒▒▒▒▒▒▒▒▒▒▒▒▒▒▒


HashTable

    IDictionary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방이름(키값)을 지정해주는것

    이 놈은 hash[0] 이라고 하면 0번째 방이 아닌 0의 키값을 가지는지 보는거야..

    패턴이 없기 때문에 반복시키기가 좀 애매해.. 못하는건 아닌데 많이 까다로워

    직관적인 대신에 이런 약점을 가지지...


    list[0]    -     "스칼라배열", 인덱스로 구분

    list["id"] -     "연관배열", HashTable



   // 사용자의 입장에서 주소값만 보고는 사실 머가 들어있는지 잘 모르잖아
   // 근데 방이름만 잘 정해주면 방속에 있는 데이터가 먼지를 어느정도 알수있잖아~
   Hashtable hash = new Hashtable();
   hash.Add("one", "하나");
   hash.Add("two","둘");
   hash.Add("three","셋");
   hash.Add("402","닷넷전문가");
   hash.Add("301","DB전문가");


   // Hashtable을 불러내기 위해서는 방의 이름표(키값)를 요구한다.
   //     ADD 할때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Console.WriteLine(hash["one"]);
   Console.WriteLine(hash["402"]);
   Console.WriteLine(hash[0]);      //   0번째 방이 아닌 0의 키값을 찾아보는거다.


   //  Queue, 입/출력 데이터는 역시 오브젝트이다.
   //      선입선출(FIFO : first in first out)  :  파이프에 공을 넣고 끝에서 하나씩 받는다고 생각해.
   //                  우리가 쓰는 원도우에 딜레이가 있어도 먼저 클릭한 것부터 진행하잖아~
   //                  이는 메시지를 담아놓는 Queue가 존재해서 그래.

   Queue queue = new Queue();
   queue.Enqueue(10);
   queue.Enqueue(20);
   queue.Enqueue(30);     // 차곡차곡 순서대로 데이터를 넣었다.

   //  데이터를 끄집에 낼때는 단순한 메소드 호출 10->20->30의 순서로 호출된다.
   Console.WriteLine(queue.Count);            //      3 이 호출
   Console.WriteLine(queue.Dequeue());
   Console.WriteLine(queue.Dequeue());
   Console.WriteLine(queue.Dequeue());
   Console.WriteLine(queue.Count);      //     0 이 호출 : Dequeue()라는 놈은 가져온 만큼 데이터 소멸
   
   queue.Enqueue(500);
   Console.WriteLine(queue.Peek());  //  요소를 제거하지 않고 그냥 반환.. 데이터 소멸 X
   Console.WriteLine(queue.Count);   //    1 이 호출


   // Stack =========================================================
   //        후입후출(LIFO : last in first out) 맨 마지막에 들어간 놈이 맨 첨에 나온다.
   //        바닥이 막힌 세로로 생긴 통이라고 생각해라.

   Stack stack = new Stack();
   stack.Push("일");
   stack.Push("이");
   stack.Push("삼");
   Console.WriteLine(stack.Count);   //     3 이 호출
   Console.WriteLine(stack.Pop());   //      "삼"  이 호출
   Console.WriteLine(stack.Pop());   //     "이"  가 호출
   Console.WriteLine(stack.Pop());   //     "일" 이 호출
   Console.WriteLine(stack.Count);      //      0 이 호출
   
   stack.Push("십");
   Console.WriteLine(stack.Peek());      //   "십" 이 호출
   Console.WriteLine(stack.Count);       //     1    이 호출







▒▒▒▒▒▒▒▒▒▒▒▒▒▒▒▒▒▒▒▒▒▒▒▒▒▒▒▒▒▒▒▒▒▒▒▒▒▒▒▒▒▒▒


          }
     }
}

Posted by 나비:D
:
iterator() 메소드를 호출 하면 새로운 객체가 계속 생성이 되어서 무한 루프에 빠진다 조심 조심 또조심

무한루프
  while (param.getSampleCodes().iterator()) {
    System.out.println(itr.next());
   }


올바른 사용
Iterator<String> itr = param.getSampleCodes().iterator();
   while (itr.hasNext()) {
    System.out.println(itr.next());
   }


   Iterator<String> itr = param.getSampleCodes().iterator();
   while (itr.hasNext()) {
    System.out.println(itr.next());
   }
   for (String s : param.getSampleCodes())
    System.out.println(s);
   
Posted by 나비:D
:
 
 
Java 실습을 해보다가 실행파일을 만들고 싶어져서 책과 인터넷을 뒤져 exe 파일 만들기 성공!
별것 아니지만 기록으로 남긴다.


1. Java 프로그램을 exe 파일로 만드려면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나는 그 중에서 JSmooth 를 사용. 일단 다운부터 받자.
  JSmooth Download

2.  notepad 에 Main-Class: package_name 을 적어서 MANIFEST.MF 로 저장하자.
    패키지이름끝은 main()이 들어있는 클래스파일명으로 끝나게.
   예) 패키지명 com.project.BBmachine  
        main()이 들어있는 클래스파일 BeatBox.class
   
   저 줄을 입력하고 마지막에 엔터키를 쳐 개행을 해야한다고 한다.

3. .jar 로 압축하기.
    jar cmf manifest.mf BJar.jar com/project/BBmachine/BeatBox
    BJar.jar - 만들고자 하는 jar 파일명
    com/project.... -  프로그램 디렉토리(상대주소)

4. JSmooth 실행
 왼쪽에 있는 Skelector 메뉴 선택 - skeleton selection에서 콘솔 or 윈도우 선택 (자신의 프로그램에 따라)
 - skeleton properties 에서 세번째 줄 체크박스 체크

5.

Executable 메뉴 - Executable Binary 에 만들고자 하는 exe 파일명 입력 - Executable Icon 에 원하는
아이콘 이미지 삽입 (아이콘 파일 형식에 따라 삽입이 안되는 경우 있으니 그림이 뜨는지 확인)

6.

Application 메뉴 - Classpath 부터 지정. 오른쪽 추가버튼 클릭하여 아까 만든 .jar 파일 선택
- Main class 에는 ..디렉토리 버튼을 눌러 main() 이 있는 클래스파일 선택

7.

JVM Selection 메뉴 - Minimum JVM Version 에 자신이 사용한 java 버전 입력

8.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jsmooth 파일이 생김(파일이름 지정해주어야 함)

Done 으로 뜨면 exe 파일이 만들어진것임

(참고사이트)
http://blog.naver.com/easy20/90014252360
http://blog.naver.com/sungback/80019669157


처음으로 요런 포스트를 만들었다. 힘들다. 특히 print screen 이 귀찮은 정도~ 나름 뿌듯 ^^

Posted by 나비:D
:
SimpleDateFormat sdf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 hh:mm:ss.SSS");
java.util.Date date = sdf.parse("2004-07-24 09:45:52.189");
java.sql.Timestamp timestamp = new java.sql.Timestamp(date.getTime());

     




SimpleDateFormat sdf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 hh:mm:ss");
try{
String samplingTime = data.getSAMPLINGTIME();
java.util.Date date = sdf.parse(samplingTime);
java.sql.Timestamp timestamp = new java.sql.Timestamp(date.getTime());
pstmt.setTimestamp(2, timestamp);
}catch(Exception ex){
log.error(ex.getMessage());
}

SimpleDateFormt 에서 parse 사용사 try문 안에 적어줘야됩니다~~














Posted by 나비:D
:

select를 했으면, insert, update, delete를 사용하는 것을 알아본다.

Apache common DbUtils 사용법 1에서 사용한 방법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을 한다.

먼저 insert를 한번 해보자
insert into testdb(name, addr) values(’Park’ ‘Seoul’)
이런 문장을 가지고 코드를 만들어 보면 아래와 같다.
public int insert()
{
int result = 0;
int index = 0;
String query = “insert into testdb(name, addr) values(:name,:addr)”;
try
{
QueryRunner runner = new QueryRunner();
Vector v = new Vector();
v.add(index++, ‘Park’);
v.add(index++, ‘Seoul’);
result = runner.update(conn, query, v.toArray());
}catch(SQLException ex)
{
log.error(ex);
log.error(”[SQL:]” + query);
throw ex;
}
return result;
}

리턴값이 0보다 크면 정상적으로 insert된다. 여기서 유의해 볼것은 Vector에 입력되는 값인데, 반드시 sql의 구조와 동일한 순서로 되어야 한다. QueryRunner class에서 Vector와 query를 가지고 PreparedStatement를 재구성하기 때문이다.

update, delete는 위에서 query만 변경되면 된다. 간단하지 아니한가??

작성자 : 박남준(criticalbug@gmail.com)

Posted by 나비:D
:

DB를 사용할때 가장 속썩이는 부분이 DB connection pool과 Connection, PreparedStatment, ResultSet 이 클래스들 일것이다.

사용을 했으면 반드시 닫아 주어야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select를 사용해보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String tableName = “”;
try {
conn = ConnectionManager.getConnection();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 from tab”);
rs = pstmt.executeQuery();
while(rs.next()) {
tableName = String.format(”tname:%s, tabtype:%s”, rs.getString(1), rs.getString(2));
System.out.println(tableName);
}
} catch(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
if(rs != null) try { rs.close(); } catch(Exception e) {}
if(pstmt != null) try { pstmt.close(); } catch(Exception e) {}
if(conn != null) try { conn.close(); } catch(Exception e) {}
}
}

상당히 익숙한 코드들이다. 여기서 유의해 볼것은 while이 있는 부분인데 rs에 있는 데이터의 크기도 크기지만, set을 이용해서 코딩하는것 자체가 한마디로 삽질인데, 이것을 dbutils을 사용해서 한번 줄여 보자

먼저 데이터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클래스를 하나 만든다

public static class TabDTO {
private String tname = “”;
private String tabtype = “”;
public String getTabtype() {
return tabtype;
}
public void setTabtype(String tabtype) {
this.tabtype = tabtype;
}
public String getTname() {
return tname;
}
public void setTname(String tname) {
this.tname = tname;
}

}

이것을 사용해서 위에서 연습한 것과 동일한 것을 만들어 보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nection conn = null;
int index = 0;
String tableName = “”;
String query = “select * from tab”;
List list = new ArrayList();

try {
conn = ConnectionManager.getConnection();
QueryRunner runner = new QueryRunner();
ResultSetHandler rsh = new BeanListHandler(TabDTO.class); //레코드 여러건
//ResultSetHandler rsh = new BeanHandler(TabDTO.class); //레코드 1건
Vector v = new Vector();
//v.add(index++, “TBLBANK”);
list = (List)runner.query(conn, query, v.toArray(), rsh);
//TabDTO dto = (TabDTO)runner.query(conn, query, v.toArray(), rsh);

Iterator iter = list.iterator();
while(iter.hasNext()) {
TabDTO dto = new TabDTO();
dto = (TabDTO)iter.next();
tableName = String.format(”tname:%s, tabtype:%s”, dto.getTname(), dto.getTabtype());
System.out.println(tableName);
}
} catch(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
if(conn != null) try { conn.close(); } catch(Exception e) {}
}
}
어떤가? 더 어려워졌다고 느끼는 분도 있을것이다. 누구나 그러하니까..

중점적으로 볼것은 QueryRunner, ResultSetHandler 이것들은 항상 같이 쓰이고 BeanListHandler는 데이터가 여러건 즉, 리스트 형태일때 사용한다. QueryRunner의 속을 깊이 들여다 보면, query가 여러개 정의되어 있는데 시간이 있으면 한번 들여다 보는것을 권장한다. 그다음에 Vector로 정의된 부분은 dynamic query,즉 PreparedStatement에 사용되는 것을 순서대로 add하여 사용한다. 참고로 query가 ~~where abe=? and def=? 이렇게 되어 있다면 v.add(1, “a”); v.add(2, “b”) 이렇게 되겠다.

조금전에 QueryRunner의 query를 살펴보았다면, query의 역할을 알 것이고 이것은 Object를 리턴함으로 List로 casting하여 사용하게 된다.

글을 처음 쓰는거라 손가락 무지아프다. 다음편에는 insert, update, delete를 알아보자

작성자 : 박남준(criticalbug@gmail.com)

Posted by 나비:D
:
출처 : http://www.okjsp.pe.kr/bbs?act=VIEW&bbs=bbs4&keyfield=content&keyword=&seq=48115&pg=0

jakarta commons DbUtils 간단한 사용법

Commons DbUtils : 데이터베이스 사용에 있어서 단순노가다로 이루어지던 많은 작업을 편리하게 해준다. 그동안 "이거 귀찮은데 유틸로 뽑아놓을까?" 아니면 "우씨~ 이런 노가다" 하던 부분이 한방에 해결됐다. 단순한 유틸 패키지이기에 사용법도 간단하고 편리하다.


//1. JDBC 드라이버 로딩을 간략화(로딩 성공시 true 반환)

        if (!DbUtils.loadDriver("com.mysql.jdbc.Driver")) {

            System.out.println("Failed Loading JDBC Driver!");
            System.exit(0);

        }


//2. Connection, ResultSet, Statement 등의 close를 간단하게

(null 확인 - > 예외처리의 과정을 간단하게)
        DbUtils.closeQuietly(connection);


//3. QueryRunner - 쿼리문 수행

- SELECT

query(Connection conn, String sql, ResultSetHandler rsh)

query(Connection conn, String sql, Object param, ResultSetHandler rsh)

query(Connection conn, String sql, Object[] params, ResultSetHandler rsh) 등

param은 PreparedStatement의 ?에 해당 .. 2개 이상은 배열을 만들어서 전달


- INSERT, UPDATE, DELETE의

int update(Connection conn, String sql)

int update(Conneciton conn, String sql, Object param) 등

executeUpdate()와 사용법 동일


//4. ResultSetHandler - 빈이나 맵을 만들어서 ResultRet에서 읽어들여 넣어주는 노가다여 안녕~!

BeanHandler, BeanListHandler, MapHandler, MapListHandler


예)

String query = "SELECT * FROM user WHERE name = ?";

User user = null;

ResultSetHandler rsh = new BeanHandler(User.class);

QueryRunner runner = new QueryRunner();

user = (User) runner.query(conn, query, "홍길동", rsh);


-----------

import java.sql.*;
import org.apache.commons.dbutils.DbUtils;


public class CommonsDBUtil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nection connection = null;
        String url = "jdbc:mysql://localhost/mysql";
        String user = "root";
        String password = "";

        if (!DbUtils.loadDriver("com.mysql.jdbc.Driver")) {
           System.out.println("Failed Loading JDBC Driver!");
           System.exit(0);
        }

        try {
            connectio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 password);
            System.out.println("Connection successful!!");
            Statement select = connectio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elect.executeQuery("select * from user");
   while (rs.next()) {
    System.out.println(rs.getString(1));
   }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
            DbUtils.closeQuietly(connection);
        }
    }
}
------------


그냥 사용법 까먹지 않기위해 Blog에 적어둔거 올려봅니다. Jakarta Project 책에서 많이 참고했습니다.

Posted by 나비:D
:

BLOG main image
by 나비:D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78)
Programming? (0)
---------------------------.. (0)
나비의삽질 (5)
Application (177)
C# (28)
JAVA (22)
ASP.NET (3)
C++ (19)
C (18)
.NET (0)
Visual Basic (12)
Flex (16)
Eclipse (8)
Delphi (16)
Visual Studio 2005 (5)
Embed (6)
Linux (2)
Mobile (1)
XML (1)
안드로이드 (2)
SQL (51)
Web (27)
etc. (14)
Omnia (0)
---------------------------.. (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