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택 (bektekk@yahoo.co.kr)
홈페이지 : http://bektekk.wo.to

문자열(스트링) 전격 분석1강

본강좌는 코드 프로젝트에 제가 좋아하는 프로그래머인 Michael Dunn의 강좌
The Complete Guide to C++ Strings, Part I 과 II 를 번역한 글입니다.
최대한 의역을 하려고 노력했지만, 이런쪽의 경험이 부족하다 보니 많이 모자란
강좌가 되겠지만,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기타 문의 사항이나 질문은 쪽지나 메일을 이용해 주셨으면 합니다.
본강좌는 제 홈페이지(위의 링크)를 통해서도 보실수 있습니다.

사실 이글은 Part I/II 두 강의로 구성이 되있지만 제 역량이 모자라는 관계로
더 잘게 쪼개 여러강좌로 재구성하겠습니다.
 

소개

프로그래밍 작업을 하면서 TCHAR, std::string, BSTR등과 같은 많은 문자열관련 데이터타입을 보셨을 겁니다. 또한 _tcs로 시작하는 마크로들도 많이 보셨을 겁니다. 아마 특히 초보분들은 많이들 어려워 하셨을겁니다. 이 강좌는 각각의 문자열 타입을 정리해 보고, 각각의 목적을 소개할 겁니다. 더 나아가 간단한 사용법과 각각의 데이터 타입으로 어떻게 변환할수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세가지 종류의 케릭터 인코딩 타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 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은 그 각각의 문자열들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지 반드시 알아야 할것입니다. 스트링은 캐릭터들의 배열이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계실지라고, 이번강좌는 여러분께 도움이 많이 될것입니다. 또한 이번 강좌를 통해 스트링과 관련된 많은 자료구조(클래스, 구조체)에 대해서도 더 확실히 아시게 될겁니다.

그다음, 스트링 클래스들에 대해 다룰것입니다. 언제 어떤 클래스를 쓰는게 좋은지, 또 각각 어떻게 변환할수 있는지 살펴 볼것입니다.

캐릭터들의 기본 - ASCII, DBCS, Unicode

모든 스트링 클래스들은 사실상 그 근간을 C-스타일 스트링에 두고 있습니다. 다들 아시다 시피 C-스타일 스트링은 캐릭터의 배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먼저 캐릭터 타입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우리가 쓰고있는 인코딩방법에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첫째로 single-byte character set, 혹은 SBCS 는 모든 케릭터가 정확히 한바이트를 차지합니다. C의 데이타 타입인 char형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많이들 알고계실 ASCII 는 SBCS의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 제로 바이트 즉 '\0' 값이 마지막에 반드시 존재하며, 그것은 문자열의 끝을 나타내게 냅니다.

둘째로는 multi-byte character set, 혹은 MBCS를 들수 있겠습니다. MBCS는 2바이트가 필요한 캐릭터(한글, 일본어, 중국어같은것들)은 2바이트로 1바이트만 써도 되는것들(영어 같은것들)은 1바이트로 표현을 합니다. 사실상 3바이트가 필요한 문자열은 3바이트로 표현을 하겠지만, 그런 문자열들이 지구상에 현재 없죠? 아마도. 윈도우즈에서는 single-byte characters  double-byte characters 이렇게 두가지 MBCS 인코딩방식이 쓰입니다. 따라서 윈도우즈에서 지원하는 가장긴 바이트의 캐릭터는 2바이트가 됩니다. 그래서 MBCS는 종종 double-byte character set, 혹은 DBCS 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DBCS 인코딩방식에서는, 어떤 특정한 값이 2바이트인지를 나타내게 됩니다. 왜냐하면 어떻 케릭터가 1바이트인지 2바이트인지를 구별할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Shift-JIS 인코딩에서는 (일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코딩 방식) 0x81-0x9F 와 0xE0-0xFC 사이의 값은 캐릭터가 2바이트라는것을 나타냅니다. 이런 값들을 "lead bytes" 라고 부르고 그 값은 항상 0x7F 보다 큽니다. "lead bytes" 다음에 나오는 바이트는 "trail byte"라고 부릅니다.DBCS에서는 trail byte는 0이 아닌 어떤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SBCS에서와 같이 DBCS방식에서도 '\0' 값을 가지는 한 바이트가 문자열의 마지막을 나타냅니다.

마지막은 Unicode 입니다. Unicode는 모든 캐릭터를 2바이트로 나타내자는 표준 인코딩방식입니다. 유니코드 캐릭터는 종종 wide characters라고도 불리는데요, 이는 1바이트 캐릭터들 즉, SBCS방식보다 더 많은(넓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유니코드는 MBCS와는 다르다는것을 주의 하세요. 가장 큰 차이점을 MBCS방식에서는 한 캐릭터가 1바이트 일수도 2바이트일수도 심지어 3바이트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유니코드에서는 모든 캐릭터들이 2바이트를 차지하게 됩니다. 또하나의 차이점은 유니코드는 MBCS, SBCS에서와는 다르게 문자열의 끝은 "\0\0" 이런식으로 제로바이트 두개로 표시합니다.

SBCS는 주로 서유럽언어, 대표적으로 영어, 에서 주로 사용됩니고 ASCII표준으로 정의되어있습니다. MBCS는 동아시아 중동지역 언어를 나타내기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한국, 일본, 중국이 대표적이죠) 유니코드는 COM과 윈도우즈NT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마 여러분들은 SBCS 즉, single-byte 캐릭터에는 이미 익숙하실 겁니다. char 타입으로 영문을 사용하실때 이미 여러분은 SBCS를 사용하고 계신겁니다. char타입으로 한글을 사용하신다면 Double-byte 타입 즉, DBCS를 사용하시는 겁니다. 하지만 그와는 다르게 유니코드에서는 wchar_t 타입을 사용합니다. 유니코드 문자열은 C/C++에서 L이라는 문자로 SBCS나 MBCS와는 다르다는 것을 표시해 줍니다.

  wchar_t  wch = L'1';      // 2 bytes, 0x0031
  wchar_t* wsz = L"Hello";  // 12 bytes, 6 wide characters

캐릭터들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방식

1바이트 스트링은 차례차례 1바이트씩 저장이 됩니다. 마지막은 제로바이트 '\0'으로 문자열의 끝을 말해줍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보면"Bob" 이라는 문자열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저장됩니다.

 42   6F  62   00 

B

o

b

문자열의 끝

유니코드 방식에서, L"Bob"은 이렇게 저장이 됩니다.

 42 00   6F 00   62 00   00 00 

B

o

b

문자열끝 두개의 제로 바이트

위에서 보시다 시피 캐릭터 0x0000 이 문자열 끝을 나타냅니다.

DBCS 스트링은 겉보기에 SBCS방식과 흡사하지만 그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에 대해서는 뒤로 미루기로 하죠. 문자열 "스트링" 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저장됩니다.(여기서 LB는 Lead Byte 그리고 TB는 Trail Byte를 뜻합니다.):

 93 FA  96 7B  8C EA  00 
 LB TB  LB TB  LB TB  EOS

 문자열 끝

"스"라는 캐릭터는 WORD 값 0xFA93 이런식으로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두 개의 1바이트값 93  FA 의 순서로 "스"라는 캐릭터를 나타내는 겁니다. 따라서 intel계열이 아닌 big-endian 방식이 CPU에서도 그 순서는 같습니다.

스트링 처리함수의 사용

strcpy(), sprintf(), atol()등과 같은 C문자열 처리함수들은 이미 많이 보셨을 겁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함수들은 반드시 1바이트 스트링에서만 사용되어져야 한다는 겁니다. 표준라이브러리는 또한가지의 다른 함수셋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함수들은 유니코드 용인데요, wcscpy(), swprintf(), _wtol() 등의 함수들이 있습니다. 대략 함수중간에 자주보이는 w 는 유니코드를 뜻하죠, wider 캐릭터에서 w를 땃겠죠?

MS는 또한 DBCS를 지원하는 표준라이브러리를 추가했습니다. strXXX()류의 함수는 _mbsXXX()의 함수와 대응됩니다. 만약 여러분의 프로그램이 2바이트 언어권에서 사용된다면 반드시 _mbs로 시작하는 문자열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사실 우리 한국사람은 반드시 _mbs류의 함수를 쓰는게 정신건강에 좋겠죠? 왜냐, _mbs함수는 SBCS방식의 문자열도 정확히 처리해 주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MBCS방식에서는 1바이트 캐릭터도 존재하기 때문에 SBCS방식의 문자열이 정확히 처리될수 있는겁니다.

그럼 전형적인 유니코드 스트링을 보면서 왜 여러종류의 스트링 처리함수들이 필요한지 얘기해보겠습니다. 전에 살펴보았던 유니코드 스트링 L"Bob" 입니다.

 42 00   6F 00   62 00   00 00 

B

o

b

EOS

만약 위의 문자열을 strlen() 함수에 사용하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strlen()함수에서는 처음 42값을 가지는 한바이트를 읽고 그 다음 00값의 한바이트를 읽겠죠? 하지만 이 00값의 바이트는 문자열의 끝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리턴값은 1을 돌려줄 겁니다. 분명 잘못된 결과죠? 음. 반대의 상황은 더욱 치명적입니다. "Bob" 이라는 SBCS방식의 문자열을 wcslen() 함수(유니코드용)에 넘겨준다고 생각해 봅시다. "Bob"는 메모리에 42 6F 62 00 이렇게 저장이 됩니다. 하지만 wcslen() 함수에서는 두바이트씩 읽어 가면서 "0000"이렇게 두바이트가 모두 0인 값을 찾아값니다. "Bob"에 경우 먼저 42 6F를 읽겠죠? 그다음 62 00 을 읽을 것이고 이런식으로 00 00을 찾을때까지 여기저기 들쑤시면서 찾아 나갈 겁니다.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올것은 자명하죠.

strxxx()  wcsxxx() 통해 스트링처리함수들에 대해 간략히 얘기해 보았습니다. 그럼 strxxx()  _mbsxxx() 의 경우는 어떠할가요? 이 둘의 차이도 정말 중요합니다. 반드시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되어 져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Posted by 나비:D
:
BLOG main image
by 나비:D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78)
Programming? (0)
---------------------------.. (0)
나비의삽질 (5)
Application (177)
SQL (51)
Web (27)
etc. (14)
Omnia (0)
---------------------------.. (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otal :
Today : Yesterday :